본문 바로가기
북클럽/북클럽 이야기

분당/판교 북클럽 이야기 (18-6)

by 과학과 신학의 대화 2018. 6. 29.

[과신대 북클럽 이야기 | 분당/판교 북클럽]


| 강사은 (분당/판교 북클럽 회원)


‘빈틈의 신’ vs. ‘빈틈의 진화’ (‘신을 죽이려는 사람들’ 9장 발제를 준비하며)


아래 3개의 언어를 혹시 이해하시겠는지요?

विज्ञान और धर्मशास्त्र के बीच एक बातचीत
שיחה בין מדע לתיאולוגיה
Συζήτηση μεταξύ επιστήμης και θεολογίας

몰라도 괜찮습니다. 우리에게는 Google이 있으니까요. ^^ (굳이 번역기를 돌리지 않아도 이 글 아래에서 알려드릴테니 찾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신을 죽이려는 사람들’의 저자 ‘존 레녹스’는 굳이 구분하자면 지적설계론자인 것 같습니다. 이 점 때문에 이 책을 읽는 내내 총기를 잃지 말아야겠다는, 약간은 불편한 생각으로 읽고 있습니다. 그 총기가 다 닳지 않았나 모르겠습니다만 이 책에서 배울 만한 점도 자주 발견하게 되는데요. 특히 무신론주의에 대해서 논증하는 태도나 방법에 대해서는 배울 것이 있다 싶습니다. 비록 ‘이건 아닌데’ 싶은 경우도 있지만 말이죠. 그리고 최근에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설교하신 모 목사님이 이 책의 추천글을 썼다는 것도 지금 이 시점에서는 무척 새삼스럽습니다.


생명의 기원과 관련해, 지적 설계론자는 ‘빈틈의 신’을 내세운다는 비판을 받고 존 레녹스는 이 책 9장에서 ‘빈틈의 진화’(또는 ‘빈틈의 다윈’)으로 그 비판을 미러링합니다. ‘과학과 신학’이라는 양날의 검을 들고 어느 부분은 과학의 날로 또 어느 부분은 신학의 날로, 혹은 두 날로 동시에 재단해야 할지를 고민하게 되는데요. 매우 그럴듯해 보이는 문구를 발견하면 “어? 이거 말이 되는 것 같은데?” 싶다가도 ‘과학’과 ‘신학’이라는 두 날을 적절히 사용해 보면 평정심을 다시 유지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한편으론 내공이 많이 부족하니 날을 좀더 갈아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기도 합니다.


이제 앞서 3개의 언어로 적어본 ‘과학과 신학의 대화’ 문구에 대해서 정리를 해야겠습니다. 존 레녹스는 이 3개의 언어를 번역기 혹은 언어에 대한 지식을 활용해 이해 가능한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구문론적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이것은 여러 단어의 가능한 조합으로부터 이 글을 읽고 있는 분께 언어로 읽히는 과정이겠습니다. (지금 우리는 힌두어 ‘विज्ञान और धर्मशास्त्र के बीच एक बातचीत’를 한글 ‘과학과 신학의 대화’로 번역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구문론적 정보’를 획득했다고 해서 ‘의미론적 정보’를 얻었다고 할 수는 없겠습니다. ‘우주의 중심이 지구이다’ 혹은 ‘우주의 중심이 인간이다’는 말은 종교적 의미로는 은혜로울 수도 있겠지만 과학의 의미로 보면 말이 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과학으로 볼 때 말이 되지 않는 것을 굳이 종교에서 차용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이겠습니다. 인간 마음 속의 종교적 깨달음이 한 창조주가 지으신 우주의 이치와도 상통하는 것이 신비롭게도 맞을테니 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은 종교의 ‘우주의 중심이 인간이다’는 (종교적) 표현에 대해서 관용하는 자세가 있는 것 같지만 종교가 최근의 발언처럼 종교적 표현을 문자 그대로 과학적 사실이라고 우기는 것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지요.


어떤 ‘과학’의 날과 ‘신학’의 날을 들고 계신지요? ‘과학과 신학의 대화’의 의미론적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저희 ‘과신대 분당/판교 북클럽’으로 오셔서 함께 대화하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