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신뷰/월간 과신뷰88

과신대 View vol.43 (2020.12)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12.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43호 [과신대 칼럼] "나는 나의 기억인가" 글 : 김성신 교수 (한양대학교 심리뇌과학과, 과신대 자문위원) 치매가 그토록 두려운 질병인 이유는 우리의 정체성의 근간이 되는 기억을 빼앗아가기 때문이다. '나'라는 사람에 대한 정체성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경험한 사건들에 대한 기억의 총합과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더보기) [ 과신Q ] 9.우리가 믿는 신은 우종학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신을 믿는다고 말할 때 우리는 누구를 믿는 것일까요? 기독교 신앙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어떤 신을 상정하고 비판하는 것일까.. 2020. 12. 16.
과신대 View vol.42 (2020.11)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11.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42호 [ 과신Q ] 8.증명되지 않는데 어떻게 믿나요? 우종학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신을 과학으로 증명할 수는 없습니다. 증명과 믿음에 관한 질문들에 우리는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더보기) [과신대 이야기] "다음 시대의 한국 교회를 꿈꾸며" 셀럽 북클럽 후기 글_ 전희경 (과신대 정회원, 과신대 교사팀) 한국의 복음주의에 대하여 알고 싶었고, 한국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미국의 복음주의에 대해 궁금했었다. 마침, 과신대 북클럽 모임에서 를 가지고 책을 읽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해서 신청하고 참여.. 2020. 11. 9.
과신대 View vol.41 (2020.10)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10.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41호 과신대 칼럼 변화에 익숙해지기 이현식 목사 (강남중앙교회, 과신대 자문위원) 코로나19로 인해 삶의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삶의 습관을 재조정하는 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몸에 배어 익숙해진 습관들을 바꾸어 새롭게 하는 것은 그리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더보기) [과신대 사무국 소식]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서 함께 일할 동료를 찾습니다. (더보기) [과신대 칼럼] "과거가 현재를 구원한다" 글 : 백우인 (과신대 출판팀장) 손에 잘 들고 있던 지갑이 없어져서 당.. 2020. 10. 12.
과신대 View vol.40 (2020.09)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9.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40호 과신대 칼럼 메노키오와 갈릴레오, 교회 권위의 위기 최종원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과신대 자문위원) 17세기 유럽 교회가 겪은 위기는 교회 중심의 세계관이 무너져 내리면서 생긴 권위의 위기이기도 하다. 교회 자체적으로 반복되는 윤리적 위기와 함께 과학 발전이 던지는 신학의 위기도 있다. (더보기) [과신대 사무국 소식] 이번달에는 과신대에 무슨일이?! 사무국 소식을 만나보세요! (더보기) [과신대 이야기 - Story] [김영순 교수 인터뷰]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다문화 인문학 인터뷰 : 백우인 (과신대 출판팀.. 2020. 9. 9.
과신대 View vol.39 (2020.08)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8.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39호 과신대 칼럼 올해 이런 휴가지 어떠세요? 정준 (더처치 담임목사, 과신대 자문위원) 올해 휴가 계획을 세우는 과신대 회원들에게 과학과 신학의 대화가 일어날 수 있는 휴가지를 제안해보고자 한다. 물론 코로나19 상황에서 안전한 야외 공간으로. (더보기) [과신대 이야기 - Story] "짚신벌레도 주체적 경험을 즐긴다" : 21회 콜로퀴움 에 대한 소감 글 : 김완식 (과신대 기자단) 이번 콜로퀴움 강의를 들으면서 제가 가장 깜짝 놀란 말이 ‘Science is truth’, 즉 ‘과학이 진리다’라는 말이었습니다. (더.. 2020. 8. 21.
과신대 View vol.38 (2020.07)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7.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38호 과신대 칼럼 신학 과잉과 과학 과잉 강성훈 교수 Biological Sciences Department, Eastern Illinois University, 과신대 자문위원 무슨 일이든 현상이든 과학적인 설명을 요구하고, 실은 그 설명이 과학의 모양을 한 유사과학에 근거한 것임에도 과학이라는 단어의 힘에 기대어 온갖 것에 과학이라는 단어를 붙여서 돈벌이를 하려고 하는 현상이 어쩌면 과학의 시대에 대한 반증일 수 있겠다. (더보기) 7월 사무국 소식 2020년 상반기가 순식간에 지나갔습니다. 현장 강의가 온라인 강의로 .. 2020. 7. 6.
과신대 View vol.37 (2020.06)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6.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37호 과신대 칼럼 과학-신학 대화는 인격신을 논할 수 있는가? 장재호 교수 감리교 신학대학교 종교철학 즉 과학에서 말하는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논의가 기독교 신앙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해도, 진화 과정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인격성을 논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더보기) [과신책 ①] 카터 핍스 | 인간은 무엇이 되려 하는가? | 김영사 | 2016 글 : 최성일 (과신대 기자단)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떠오른 카터 핍스의 이미지를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균형잡힌 제너럴리스트”라고 말하고 싶습니.. 2020. 6. 12.
과신대 View vol.36 (2020.05)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5.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36호 과신대 칼럼 코로나 이후 임범진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과신대 자문위원) 오늘 오전 4시간 동안 근무하는 병원의 코로나 선별진료소 당직을 섰습니다. (더보기) 코로나19는 저희 과신대와 같은 비영리단체의 운영이나 사업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화상으로 회의를 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고 강의나 세미나도 온라인으로 진행하게 됐으니 말이죠. 그래도 저희 과신대는 변화에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 사무국 소식 보러가기 과신대 사무국 이야기 과신대 사무국에는 무슨 일이? [과신책 ①] 윤신영, [사라져 가는 .. 2020. 5. 8.
과신대 View vol.35 (2020.04)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4.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35호 과신대 칼럼 우리의 편견과 하나님을 아는 지식 황소현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과신대 자문위원) 대학교 유전학 수업시간 중에 교수님께서 “종교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생물학을 연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라고 이야기하시면서, “생물학을 공부하는 것과 신앙을 가지는 것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라고 강요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더보기) 지난 번에 저희 과신대가 '공익경영센터'에서 지원하는 비영리 스타트업 단체로 선정된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그 사업의 일환으로 이번에는 스타트업 단체를 돕는 엑셀레이팅 교육에 .. 2020.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