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83 과학과 신학의 대화 <핵심과정> 'Follow-Up' 안내 Follow-Up 'Follow-up'은 오늘날 이슈를 다루는 핵심과정의 후속강의입니다. 이번 'Follow-up'의 키워드는 생태(Ecology)입니다. '유기체나 유기체의 무리가 자신과 둘러싼 환경과 맺는 관계'를 가리키는 이 단어는 당연하게 여겨졌던 인간중심의 사고관을 돌아보게 합니다. 기후위기의 시대에 '지혜서'(송민원 교수)와 '여성신학'(구미정 교수)의 시각으로 하나님˙인간 ˙자연의 관계를 돌아보고, 창조세계를 바라보는 두 강의는 시기적절하고, 필요한 강의입니다. 'Follow-up'과 함께 생태를 대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경험해보시면 어떨까요? Follow -Up 수강신청 바로가기 ◎ 핵심과정 'Follow-up' 개요 수강 일시 : 2021년 9월 13일~10월 10일 (수강신청 9/22일까.. 2021. 8. 10. 2021년 하반기 콜로퀴움 안내 2021년 하반기 콜로퀴움을 소개합니다. 이번 콜로퀴움은 팬데믹과 기후위기라는 절망적인 삶의 현실 속에서 우리는 어떤 삶, 어떤 신앙, 어떤 그리스도인으로 거듭나야 하는지를 함께 고민하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으로 준비했습니다. 특별히 하반기 콜로퀴움은 강사의 강의를 듣고 온라인 줌으로 직접 질문 할 수 있는 대담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대담 중 질문을 남겨주시면 강사님께서 직접 대답을 해드립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28회 콜로퀴움 수강신청 바로가기 제28회 콜로퀴움 "팬데믹 시대,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배울 것은 무엇인가?" 팬데믹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한, 어쩌면 반복되는 비일상성이다. 그리스도교는 팬데믹 시대에 남다른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근원적인 사랑과 헌신, 희생양을 찾으려는 폭력의 제어,.. 2021. 8. 9. 과신대 <핵심과정> 2021년 가을학기 모집(9월~12월) 과신대 은 10명의 전문가로부터 성서학, 창세기 해석, 조직신학의 창조론, 자연의 역사, 과학에 대한 이해, 무신론, 다양한 창조의 관점, 과학과 윤리 등 핵심적인 주제를 배우는 강좌입니다. 은 과학과 신앙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국내 유일한 커리큘럼으로, 목회자나 교사를 포함하여 일반 성도 누구나 참여가능한 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 ◎ 핵심과정 수업 안내 ◎ ○ 전체수강 신학과정 1강 (9/13) 창세기와 창조 기사 해석 _ 김근주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2강 (9/20) 지구연대와 죽음에 대한 성서적 이해 _ 전성민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3강 (9/27) 창조에 대한 신학적 이해 _ 김정형 (장로회신학대학교) 4강 (10/4) 하나님형상, 인간에 대한 신학적 이해 _ 이용주 (숭실대학교.. 2021. 8. 9. 과신View vol.51 (2020.8)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전체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mailchi.mp/a86dd540da5a/view-vol43-1952931 과신View vol.51 목록 [자문위원 칼럼] "인간이란 무엇인가?" 2021 베리타스 포럼 후기 [SF 영화와 기독교] 블랙위도우: MCU의 멀티버스 이해하기 [과신대 사람들] '기초과정'을 왜 들어야 할까요? 우종학 교수 인터뷰 [과신대 연구모임] 8월 과신대 연구모임: 생명 윤리 개괄 특강 [바이오로고스 Commnon Questions] 진화적 창조는 성경무오성과 양립하나요? [기자단 칼럼] 프리초프 카프라의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을 읽고 [기초과정 수강생 후기] 김기환, 유준호님 인터뷰 [사무국의 소소한 일상] 2021년 8월 2021. 8. 9. 사무국 소식 202108 과신대가 지금의 모습으로 자리를 잡기까지는 회원들의 자발적인 북클럽이 큰 몫을 했습니다. 서울대입구 근처 더처치 옥상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책을 읽고 토론을 하면서 과신대 모임을 탄탄하게 만들어나갔죠. 그 이후 각 지역에서 정회원들을 중심으로 몇 개의 북클럽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제주도와 미국 LA에서도 모임이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더 이상 함께 모여 책을 읽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온라인으로 모일 수밖에 없었는데, 오히려 위기가 기회가 되어 이제는 지역에 상관없이 모임의 주제와 성격으로 각각의 북클럽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오세조 목사님은 그동안 수원남부 북클럽에서 활동하시다가 이번에 새롭게 시작하는 ‘과신대 필독서 북클럽’을 진행해주셨습니다. 말 그대로 과신대에.. 2021. 8. 9. 8월 과신대 연구모임: 생명 윤리 개괄 특강 과학과 신학의 대화(이하 과신대)에서는 한 달에 한 번씩 ‘연구모임’의 시간을 가집니다. 참여하는 회원들은 대부분 연구자입니다. 연구모임은 크게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합니다. 1부에서는 ‘과학과 신학’에 관련한 다양한 주제를 대상으로 특강을 듣는 시간을 갖습니다. 현재는 연구모임 회원들을 중심으로, 각자의 전공과 ‘과학과 신학 분야’를 접목하는 형식의 특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1년에 과신대 연구모임에서 다루는 연구 주제는 바로 ‘합성생물학’입니다. 작년 노벨화학상에 선정된 연구자들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상을 받기도 하였는데요. 한때 화두가 되었던 만큼 연구모임에서도 이 주제를 ‘과학과 신학’의 시각에서 조명해보기로 했습니다. 이전 특강으로는, 지난.. 2021. 8. 6. 프리초프 카프라의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을 읽고 프리초프 카프라(Fritjof Capra)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물리학자로서 1939년 태어났습니다. 그의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을 천천히 읽으면서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관해서 만난 학자 중 가장 폭이 넓고 깊은 학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는 이 책에서 현대물리학의 길, 동양 신비주의의 길, 두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차례대로 자세히 그러나 일반인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알기 쉽게’라는 것은 이 분야에 관심 있는 독자층에게 해당되는 말이기는 합니다만, 과신대 회원분들은 다 관심 있는 독자분들이기 때문에 ‘알기 쉽게’라고 쓸 수 있겠습니다. 필자 자신이 물리학자이기 때문에, 1부에서 자세히 설명된 상대론과 양자역학에 이르는 현대 물리학의 발자취는 아주 전문적이면서도 자세한 내용을 담고.. 2021. 8. 6. “인간이란 무엇인가?” 2021 베리타스 포럼 후기 지난 7월 8일 “트랜스휴먼 시대,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2021 베리타스포럼(고려대학교)이 개최되었습니다.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줌(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열린 이번 포럼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과학과 종교 석좌교수로 있는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McGrath) 교수님을 강사로 초청했습니다. 저는 이번 포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진행된 두 차례 북 토크에 연사로 참여하면서 포럼 주제에 대한 사전 이해를 어느 정도는 충분히 갖고 있었는데, 실시간 포럼을 통해 사전 이해가 대체로 확인되고 또 확장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북 토크와 포럼에 참여하면서 베리타스포럼을 주관하시는 분들의 헌신과 열정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2시간 남짓 진행된 실시간 포럼은 매우 짜임새.. 2021. 8. 5. 업글기초과정 수강생 후기 - 김기환, 유준호님 과신대 ‘업글 기초과정’을 수강한 김기환 님, 유준호 님과 이메일로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두 분께 수업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수업 후 변화에 대해 물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과신대 회원들에게 간단하게 자기소개를 해 주세요! 김기환 안녕하세요, 저는 김기환입니다. 학부는 감리교신학대학교를 졸업했고, 루터신학대학원에서 MDiv를 마쳤습니다. 지금 현재는 기독교한국루터회 도봉교회에서 준목으로 섬기고 있습니다. 유준호 안녕하세요, 저는 부산에 사는 유준호라고 합니다. 아내 최수진과 세 아들 에녹, 노아, 언약 이렇게 다섯 식구가 살고 있고요, 나이는 39세이고 현재 병원에서 환자분들 진료를 보고 있습니다. 부산 사귐의 교회에 출석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개설한 ‘업글 기초과정’ 강의를 모두 들으셨는데, 어떤.. 2021. 7. 29.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