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779 무오(無誤)에서 무지(無知)로 창조론자들 (로널드 L. 넘버스, 신준호 외 역, 새물결플러스) 서평: 이광형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동 대학원 구약학 Th.M 재학 중, 초원교회 교육 목사) 무오(無誤)에서 무지(無知)로 먼저 이 책의 제목에서 ‘창조론자들’이라는 말은 성경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창조를 믿고 신앙하는 모든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닌 ‘과학적 창조론’ 혹은 ‘창조과학자’들을 가리키는 말이라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사실 이 책의 저자인 로널드 넘버스가 어떤 사람인지 몰랐기에 책을 읽기 전에는 아마도 창조과학 쪽에 있는 사람들의 주장이 어떤 면에서 틀렸는지 학문적으로 비판하는 책일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이 책은 어느 쪽 주장에 대해서 (적어도 명시적으로는) 옳고 그름을 논하려는 .. 2018. 10. 22. <창조론 연대기> 서평 (김영웅) 창조론 연대기 (김민석, 새물결플러스) 김영웅 (포스텍 분자 생물학 박사, 현 미국 City of Hope에서 백혈병 연구) 일주일 만에 배송이 되어 (여긴 미국이다), 기대감으로 책을 순식간에 다 읽어 버렸다. 너무나 맛있는 음료를 다 마셨는데도 계속해서 빨대를 빨고 있는 기분이랄까. 책이 좀 더 길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찐하게 남는다. 성인이 되어 만화책을 사 본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어제 점심 시간에 카페테리아 구석진 곳에 앉아 혼자 밥을 먹으면서 키득키득대며 읽었는데 (옆 사람이 힐끗힐끗 쳐다보는데, 뭐 어쩔 수 없었다. 그런 것따위 신경 쓸 겨를이 내겐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재미있게 책 한 권을 읽어본게 언제였던가 싶다. 김민석 작가의 실력에 경탄을 금할 수 없었다. 이 책은 만화만이 가진 .. 2018. 10. 22. <아론의 송아지> 서평 (김영웅) 아론의 송아지 (임택규, 새물결플러스) 서평: 김영웅 (포스텍 분자 생물학 박사, 현 미국 City of Hope에서 백혈병 연구) 먼저, 무크따를 먼저 읽고 아론의 송아지를 읽게 된 순서는 아주 바람직했던 것 같다. 출판된 시기가 그렇지 않냐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 두 권 모두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들의 독서 방향에 있어선 하나의 힌트가 될 수도 있겠다. 개인 교습으로 입문을 했다면, 이제 재미나고도 적절한 비유와 예시를 동반한 강연을 들을 차례다. 앞서 언급했듯이, “아론의 송아지”는 하나님을 눈에 보이는 형상 속에 가두어 버리는, 우매하고도 이기적인 인간의 속성을 반영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가 시내산에서 오랫동안 내려오지 않자 불안해져서 그들이 지니고 있던 금 조각을 모두 모아 아론을 중심.. 2018. 10. 22.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서평 (김영웅)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우종학, IVP) 서평 | 김영웅 (포스텍 분자 생물학 박사, 현 미국 City of Hope에서 백혈병 연구) 본격적인 이야기는 어느 신문사 과학부를 담당하고 있는 박 기자라는 나한교 (나도 한때 교회 다녀봤어)가 우연찮게 그의 과거 주일학교 선생이자 현재 대학 교수인 한 별 박사의 저서 소개 기사를 작성하는 일을 맡게 되고 인터뷰까지 직접 하게 됨으로써 시작이 된다. 오랜만에 만난 사이, 세월이 벌려 놓은 서먹한 둘 사이의 간격은 비단 과거 선생과 제자 간격이나 현재 교수와 기자 간격만은 아니었다. 세월은 그 둘을 신앙인과 비신앙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으로도 갈라놓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갈라놓은 원인의 무게중심은 수동적 의미의 세월이란 요소뿐 아니라 .. 2018. 10. 22. 전주 북클럽 이야기 (18-10) [과신대 북클럽 이야기 | 전주 북클럽] | 김재상 (전주 북클럽 회원) 7장 의미 추구와 과학의 한계 7장에서 알리스터 맥그라스는 앞에서 논의해왔던 작은 결론을 적고 있다. 기독 신앙과 의미라는 맥락에서 과학과 기독신앙의 대화에 대한 한 꼭지를 마무리하고 있다. 를 시작하면서, 맥그라스는 과학과 기독교의 전쟁/갈등 서사는 두 진영의 본질적 관계를 드러내지 못한다고 보았다. 도리어 그는 기독신앙의 서사와 과학의 서사가 함께 할 때 우주 실재가 지니고 있는 풍성한 의미들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실재는 한 측면이나 한 관점에서만 읽히지 않는다. 실재는 다양한 측면이나 층위에서 여러 의미를 보인다. 실재에 대한 건전한 이해는 여러 관점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의미를 종합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 맥그라스는 이러.. 2018. 10. 22. 사무국 오시는 길 과학과 신학의 대화 사무국에 오시는 길은 지도를 참고해주세요. * 주소: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428,낙원상가 5층 500호, 과학과신학과의대화 (우03140) - 지하철: "종로3가"(1,3,5호선) 5번 출구(5호선 출구) - 버스: "종로 3가.탑골공원" 또는 "종로 2가" 에서 도보로 5-10분 - 주차안내 낙원제일주차장(낙원상가 1층) 주차요금 : 1시간 4,000원, 최초 30분 2,000원 이후 15분마다 1,000원 운영시간 : 평일 08:00-22:00/ 휴일 09:00-21:00 * 사무국 연락처: 010-5739-4231 / scitheo.office@gmail.com * 이렇게 찾아오세요~ 2018. 10. 19. 과신대와 뜻을 함께 할 협력교회를 모집합니다. 과신대와 뜻을 함께 할 협력교회를 모집합니다. 과신대는 과학주의 무신론이 팽배한 현대사회에서복음의 변증과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을 위해건강한 창조신학을 교육하고 연구합니다. 과신대의 비전과 사역을 지지한다면 과신대와 함께하는 교회로 동참해 주세요. 과신대는 앞으로도 한국교회에 꼭 필요한 기독교교육 컨텐츠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급하기 위해 목회자들과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지지와 응원 부탁드립니다. 협력교회 지원하기 문의_ scitheo.office@gmail.com070-4320-2123 2018. 10. 19. 분당/판교 북클럽 이야기 (18-10) [과신대 북클럽 이야기 | 분당/판교] | 김란희 (분당/판교 북클럽 회원) 가을이 무르익어 가는 시월의 어느 날 밤 분당/판교에 눈빛 형형한 독서쟁이들이 모였습니다.반가운 a new-face가 오셔서 우리는 오늘도 첫 만남처럼 각자를 재미나게 소개하면서 독서모임을 시작했습니다. 저는 화학을 전공했고 기병대를 생각하시면 기억이 날 겁니다. 기독교 변증에 대한 관심이 여기까지 오게 된 동기가 되었습니다.저도 공학을 전공했습니다. 교회 주일학교에서 청소년들을 가르치는데 그들의 질문에 정직하고 정확하게 답해 주고 싶어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전 칠성 사이다를 생각해주세요.전 동네사람인데 동네에 있는 유일한 독서모임이고 목사 후보생으로 신학을 위한 지성의 깊이를 더하고 싶어 오게 되었습니다. 못난이로 기억해.. 2018. 10. 17. [과신톡] 창조는 어떻게(How)? 왜(Why)? 무엇(What)? [신학자와 과학자의 유쾌한 대화로 풀어가는 과신톡] 창조는 어떻게(How)? 왜(Why)? 무엇(What)? 신학자가 말하는 하나님의 창조과학자가 말하는 우주의 시작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요? 신학자와 과학자의 유쾌한 대화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수강신청 바로가기] 일시: 2018년 11월 15일 목요일 저녁 7시장소: 서울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512호대상: 누구나 진행순서 7:00-7:30 "신학자가 말하는 하나님의 창조" 박영식 교수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저자)7:30-8:00 "과학자가 말하는 우주의 시작"우종학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과신대 대표)8:00-8:10 휴식 및 질문지 작성8:10-9:00 신학자와 과학자의 유쾌한 대화 대담: 박영식 교수, 우종학 교수9:00-9:1.. 2018. 10. 15.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