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신뷰357

진리를 알아가는 재미: <창조론자들>을 읽고 로널드 L. 넘버스 | 창조론자들 | 신준호 옮김 새물결플러스 | 2016. 5. 25 | 940쪽 | 50,000원 과신대 추천도서를 순서대로 읽고 서평을 한다는 기획을 처음 생각했을 때, 맨 마지막에 기다리고 있는 이라는 책을 내가 과연 읽어낼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다. 한편으로 이 책 안에 어떤 내용이 들어있길래 이렇게 두꺼운가 하는 호기심도 있었다. 처음 제목만 봤을 때는 지금까지 내가 읽어왔던 책들처럼 창조과학을 비판하거나 진화적 창조를 옹호하는 단순한 내용인 줄 알았다. 그러나 이 책은 그렇게 단순하게 태어나지 않았다. 로널드 L. 넘버스는 이 책을 위한 자료조사를 몇 년이나 했다. 그의 입장에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자료조차 모으려 애를 썼다는 것이 책의 전반을 통해 드러난다. 책은 총 18장으.. 2020. 11. 5.
[과신Q] 8. 증명되지 않는데 어떻게 믿나요? [과신Q] 8. 증명되지 않는데 어떻게 믿나요? 우종학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현대인은 과학으로 증명되지 않으면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묻기도 합니다. 과학으로 증명되지 않는데 어떻게 신을 믿을 수 있나요? 기독교인 중에도 신이 존재하고 우주를 창조했다는 진리를 증명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신을 과학으로 증명할 수는 없습니다. 증명과 믿음에 관한 질문들에 우리는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믿음1: 지적 동의 혹은 수용 ‘믿음’이라는 말에는 다양한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 과학이나 어떤 명제 혹은 주장에 동의한다 혹은 수용한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가령,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믿는다면 그에 동의한다는 말입니다. 과학적 증거가 충분하고 입증되.. 2020. 11. 4.
과신대 View vol.41 (2020.10)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10.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41호 과신대 칼럼 변화에 익숙해지기 이현식 목사 (강남중앙교회, 과신대 자문위원) 코로나19로 인해 삶의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삶의 습관을 재조정하는 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몸에 배어 익숙해진 습관들을 바꾸어 새롭게 하는 것은 그리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더보기) [과신대 사무국 소식]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서 함께 일할 동료를 찾습니다. (더보기) [과신대 칼럼] "과거가 현재를 구원한다" 글 : 백우인 (과신대 출판팀장) 손에 잘 들고 있던 지갑이 없어져서 당.. 2020. 10. 12.
변화에 익숙해지기 변화에 익숙해지기 이현식 목사 (강남중앙교회, 과신대 자문위원) 코로나19로 인해 삶의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삶의 습관을 재조정하는 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몸에 배어 익숙해진 습관들을 바꾸어 새롭게 하는 것은 그리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인내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저는 지난 달 딸아이의 결혼식을 치렀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상황이어서 50명 이상 모일 수 없었습니다. 공간을 두 군데로 나누어서 본 식장에 50명, 별도 공간에 50명을 초대할 수 있었습니다. 양가에서 각각 50명 이내의 하객을 초대한 가운데 결혼식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하객들은 가족, 친지들과 신랑 신부의 친한 친구들 정도였습니다. 신랑 신부를 제외하고는 마스.. 2020. 10. 8.
창조기사논쟁 빅터 P. 해밀턴 외 | 창조기사논쟁 | 최정호 옮김 새물결플러스 | 2016. 3. 20 | 510쪽 | 23,000원 다가오는 시간에도 하나님이 당신의 교회인 우리가 당신의 말씀에 담긴 진리를 더욱 잘 이해하도록 우리를 이끄실 것이라고 믿기에, 나는 이 대화가 계속되기를 희망한다. - p. 493 이 책을 처음 집어 들었을 때, ‘또 창조 논쟁이야? 과학과 신학 얘기는 창조 빼면 할 얘기가 없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나의 생각이 얼마나 교만한 생각이었는지를 알게 되어 부끄러웠다. 이 책은 창조만 다룬 책이 아니며, 설사 창조만 다룬 책이라고 하더라도 마치 내가 창조에 대해서는 더 알 것이 없다는 듯이 생각했다는 것 자체가 창피했다. 책은 1부와 2부로 나뉘는데, 1부에서는 5명.. 2020. 10. 6.
과거가 현재를 구원한다. 과거가 현재를 구원한다. 글_ 백우인 (bwooin@naver.com) 손에 잘 들고 있던 지갑이 없어져서 당황했던 일이 있다. 어디에서부터 지갑이 손에 없었는지 기억도 안 나고 당장 집에 갈 차비도 없는 처지라 눈앞이 캄캄했다. 두렵고 불안에 휩싸여 잠시 멍하게 있다가 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뭔가 생각해 봤다. 지갑을 찾고자 한다면 선택의 여지가 없이 다녀왔던 길로 돌아가는 것이다. 내가 거쳐 온 길을 되짚어 가는 것, 즉 현재의 시간에서 과거로 찬찬히 돌아가 보는 것이다. 과거를 향해 뚜벅뚜벅 가다 보면 ' 아! 이곳이었구나. 여기에 두고 온 것이구나'라고 사건의 시작점을 만나게 된다. 결국 단추를 잘 못 끼운 지점까지 가야 다시 바로잡을 수가 있다는 얘기다. 정신적 외상이라 부르는 트라우마 .. 2020. 10. 6.
[기후변화 제국의 프로테스탄트] 8. 지구온난화와 집중호우 글_ 김진수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선임연구원, 과신대 정회원) 이번 여름은 유독 장마가 길어졌습니다. 평균적으로 장마는 중부지방 기준 6월 24일 정도에 시작되어, 7월 24일 정도에 종료되는 특성을 가지는데, 올해는 8월까지 장마가 이어졌고 집중호우도 매우 두드러졌습니다. 기상백과에 따르면 장마의 어원은 ‘댱마’(長)+‘맣’으로 ‘긴’ ‘오랜’이란 뜻의 한자어 ‘장’(長)과 ‘비’를 의미하는 ‘마ㅎ’의 합성어라고 합니다. 즉, 여러 날 계속해서 내리는 비를 말하는 것으로 중국에서는 이 장마를 ‘메이유’, 일본에서는 ‘바이유’라고 부릅니다. 일본어와 중국어로 장마의 발음은 조금 다르지만, 한자로는 ‘매우’(梅雨)로 같은 글자입니다. 매화(梅花) 열매가 익을 무렵부터 장맛비가 내리기 시작한다고 해서 붙인.. 2020. 9. 29.
[과신책] 파란하늘 빨간지구 조천호 | 파란하늘 빨간지구 | 동아시아 글_ 윤세진 (구일고등학교 과학교사) 2004년에 개봉된 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는 재난영화 중에서도 상당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제작된 영화이다. 급격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북극의 해수 밀도가 낮아지고, 그 때문에 전 세계의 해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표층수가 심층수로 하강하는 작용이 멈추게 된다. 이로 인해 해류 순환이 중단되면서 적도와 극 사이의 에너지 교환이 중단되고 결국은 전 세계가 급격하게 빙하기로 접어든다는 줄거리이다. 영화가 개봉될 당시에 사람들에게 지구 온난화에 대한 경고를 주기도 했지만, 영화니까 좀 과장된 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다. 만일 이 영화가 과장된 거 아니냐는 의견이 있는 사.. 2020. 9. 15.
과신대 View vol.40 (2020.09)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9.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40호 과신대 칼럼 메노키오와 갈릴레오, 교회 권위의 위기 최종원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과신대 자문위원) 17세기 유럽 교회가 겪은 위기는 교회 중심의 세계관이 무너져 내리면서 생긴 권위의 위기이기도 하다. 교회 자체적으로 반복되는 윤리적 위기와 함께 과학 발전이 던지는 신학의 위기도 있다. (더보기) [과신대 사무국 소식] 이번달에는 과신대에 무슨일이?! 사무국 소식을 만나보세요! (더보기) [과신대 이야기 - Story] [김영순 교수 인터뷰]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다문화 인문학 인터뷰 : 백우인 (과신대 출판팀.. 2020.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