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신뷰359

빈, 그것은 아낭케 Ananke 빈, 그것은 아낭케 Ananke 감각인 Homo sensibilis - 빈손의 소리를 들었다 빈 손을 내밀었다 허공에. 비어있는 손바닥 위에 햇살이 머문다. 따뜻하고 투명한 질감은 뽀송하다. 뒤집은 손등 위에서 혈관들을 비집고 싹이 나올지도 모르겠어서 그대로 숨죽인다. 해를 쫓는 향일성인 나는 또 어쩔 수 없이 햇살을 손에 쥐었다 펼쳤다 하면서 사유의 길로 빠진다. 악수를 한 적이 있었다. 서로 만져야 사는 부류인 인간은 '나는 만진다. 고로 존재한다.'는 콩다악의 명제에 긍정했던 시대에. 그러니까 손이 닿는 것을 머뭇거려 하는 시대에 살기 이전에. 그 시대를 살았던 감각인은 촉각이 모든 감각의 완성이라고 여겨서 만지는 것이 곧 아는 것이었고 그것은 곧 명명 불가능한 유적인 진리였다. 태어나고 사라지고 .. 2022. 4. 11.
인류의 기원 인류의 기원 이상희, 윤신영의 『인류의 기원』을 읽고 인류의 시작은 언제일까? 최초의 인류를 우린 알 수 있을까? 공통의 조상으로부터 현재의 인류로 진화해 왔다면 지금 이곳에 있는 우리가 진화의 마지막 모습일까? 진화는 계속되고 있을까? 빅히스토리는 늘 궁금증을 부른다. 진화의 의미를 ‘이전보다 더 좋아지는 것, 나아지는 것’이라는 뜻으로 오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과학이 가치 중립성을 갖듯이 ‘진화’라는 개념에는 어떠한 가치나 방향성이 없다. 자연선택에서 당장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유리한 형질이 선택되는 것인데, 그 형질이 절대적으로 생존에 유리하다는 보장은 없다. 우성과 열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우성 형질이 곧 우등한 형질이 아니며 열성 형질이 곧 열등한 형질이 아니다. 여기에는 영어 domin.. 2022. 4. 8.
“이중 소명, 대안적 소명 인식” 강의 요약 제31회 과신대 콜로퀴움 “이중 소명, 대안적 소명 인식” - 강의 요약 - 제31회 과신대 콜로퀴움에서는 고려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의 송수진 교수님을 모시고 “이중 소명, 대안적 소명 인식”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들었습니다. 세계 최저 출생률, OECD 최고 여성 경력 단절률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을 생각해보고 대안 문화로 현실을 바꿔가기 위해 크리스천들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를 고민해보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 * * 송수진 교수는 아이 셋을 키우는 직장맘입니다. 그러다 보니 오늘 강의주제에 관해서 자연스레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대안적 소명인식은 일과 가정이 양립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함께 돌보고 함께 일하기 위한 제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송수진 교수의 직장인 고려.. 2022. 4. 8.
과신View vol.58 (2022.03)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과신뷰 58호 전체 글 목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22. 3. 31.
[신간 소개]『과학과 신학의 대화 Q&A』 ​: 창조와 진화, 인간의 기원에 관해 가장 궁금한 38가지 질문 ​ * 도서 발간으로 인해 그동안 연재되었던 [바이오로고스 Common Questions]를 일부공개로 전환합니다. 책에서 과학과 신학 사이의 더 많은 질문과 이야기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바이오로고스, 우종학 ​ ​ 김영웅 옮김, 과학과 신학의 대화 엮음​ 무선 308쪽 / 16,000원 ​ ​ ​ 과학을 품은 신앙이 무엇인지 보여 주는 책! ​ ​ 과학을 통해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더 깊이 배우는 동시에​ 신학적으로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까? ​ 38개의 질문을 던지며 답을 찾아간다!​ ​ “진화를 포함하여 존재하는 모든 것의 존재와 행위, 시작과 과정은 선하시고 지혜로우신 하나님의 계획과 창조, 섭리와 통치에 기원을 두고 있다. 창조와 진화, 성경과 과학을, 이것.. 2022. 3. 15.
관성과 위반의 위험 - '오이디푸스 - 되기' 사유는 언어 안에서 이루어진다. 언어는 사유의 매개자다. 그렇다면 이것을 좀 더 밀어붙여서 언어는 사유의 집이므로 사유하는 자는 곧 언어 안에서 태어나며 인간이 사유함으로써 존재하는 한, 사유가 곧 존재이며 사유가 행동을 낳는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이는 푸코의 사유를 따라가 본 것이다. 나는 오늘 아리아드네의 붉은 실을 잡고 미노타우로스가 사는 미로궁 속으로 들어간 테세우스다. 미노타우로스는 내게 관성과 위반이며 붉은 실은 물리학과 진화 발생학이며 이것으로 들여다본 사물의 본성이다. 미로궁 아비린토스 속으로 들어가 보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이 정지해 있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했다. 갈릴레이는 일정한 빠르기로 물체가 운동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했다. 둘은 모두 사물의 운동 상태에 관해 언급하고 있.. 2022. 3. 11.
생명욕동과 죽음욕동의 순환 아래 있는 존재들의 공생 '생명욕동과 죽음욕동의 순환 아래 있는 존재들의 공생' 린 마굴리스의 을 읽고 생명은 혼자서는 존재할 수 없다. 환경과 물질 그리고 다른 생명과 함께 공생하고 공존한다. 국어사전에서는 공생을 "종류가 다른 생물이 같은 곳에서 살며 서로에게 이익을 주며 함께 사는 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일상 생활에서 어떠한 집단이나 사람들이 상보 관계를 이룰 때 "공생하고 있다"고 으레 말하기도 한다. 예컨대 뿌리혹박테리아와 콩과 식물의 상리공생이나 고래와 따개비의 편리공생 등, 공생의 큰 갈래와 그 예시까지 어렴풋이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의 저자인 린 마굴리스는 모든 생명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 또한 이 공생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말한다. 린 마굴리스가 위스콘신 대학원에서 생물학을 공부할 때, 당시에는 .. 2022. 3. 10.
코로나19 팬데믹, 기후 위기 시대에 노아 홍수 이야기가 주는 교훈 이 내용은 김회권 교수의 [인문고전으로서의 구약 성서 읽기]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것이다. 김회권, [인문고전으로서의 구약성서 읽기] 14주차 강의안 14강-1 인문고전으로서의 구약성서 읽기 사례 2: 바벨론 홍수설화의 빛 아래서 본 노아 홍수 이야기 그동안 창세기에서 노아의 홍수 이야기를 읽으면서 드는 의문이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세상에 사람의 죄악이 가득하여 한탄하시며 근심하시다가 사람과 가축과 기는 것과 공중의 새까지 쓸어버리시기로 작정하시고 그 계획을 홍수로 실행하셨다. 그런데 하나님은 사람과 함께 세상의 피조물을 다 쓸어버리면서 왜 물속에 있는 생물은 멸종 대상에서 제외하셨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속 생물은 다른 생물과 다른 특별한 점이 있는가, 아니면 어떤 영적 의미가 있는 것인가? 그.. 2022. 3. 10.
귀를 기울이면 보이는 것들 귀를 기울이면 보이는 것들 - 영화 2022.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