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1

[기후변화제국의 프로테스탄트] 5. 기후변화의 요단강, 티핑 포인트 글_ 김진수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선임연구원, 과신대 정회원) 이산화탄소 피드백 첫 연재글(352호·2020년 3월호)에서 이산화탄소 이야기를 했지요. 매년 인류가 화석연료 사용과 토지사용 변화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량이 5ppm 이상인데, 약 3ppm 정도는 해양과 육상의 식생(주로 숲)이 흡수하여 대기 중에는 약 2ppm씩 쌓이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해양과 육상의 식생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더 극심한 지구온난화에 시달렸을 것이란 말도 덧붙였습니다. 즉, 지구의 기후시스템 자체가 지구온난화를 완화해주고 있다는 것이죠. 그럼에도 많은 과학자가 연구한 미래의 전망은 매우 어둡습니다. 지난 글에서 살펴본 양의 피드백(feedback)이 현재에도 계속 일어나고 있고, 미래에는 갈수록 더 .. 2020. 6. 23.
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데이비드 J. 헬펀드 저, 노태복 역, 더퀘스트, 2017 글_ 윤세진 (구일고등학교 과학교사, 과신대 실행위원) 과학은 하나의 전공이나 분야가 아니다. 과학은 체계적으로 사고하겠다는 약속이며, 가설을 검증하고 사실을 관찰함으로써 우주를 설명하고 지식을 쌓아가겠다는 맹세다. - 아툴 가완디(Atul Gawande) - (47쪽) 요즘 코로나바이러스증후군-19(Covid-19)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언론이나 SNS를 통해 쏟아지는 수많은 정도들이 우리 주위에 널려 있다. 그 덕분에(?) 너도 나도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용어가 익숙해졌고, 어떤 사람은 그 특징이나 증상 등을 웬만한 의사 못지않게 알기도 하고 설명도 하고 심지어는 자기 나름의 잘.. 2020. 6. 15.
과신대 View vol.37 (2020.06)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6.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37호 과신대 칼럼 과학-신학 대화는 인격신을 논할 수 있는가? 장재호 교수 감리교 신학대학교 종교철학 즉 과학에서 말하는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논의가 기독교 신앙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해도, 진화 과정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인격성을 논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더보기) [과신책 ①] 카터 핍스 | 인간은 무엇이 되려 하는가? | 김영사 | 2016 글 : 최성일 (과신대 기자단)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떠오른 카터 핍스의 이미지를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균형잡힌 제너럴리스트”라고 말하고 싶습니.. 2020. 6. 12.
[기후변화제국의 프로테스탄트] 4. ‘고작 1℃’여서 문제 없다고? 글_ 김진수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선임연구원, 과신대 정회원) 기후변동과 기후변화 지난 글에서 설명한, 매년 기후의 상태가 변하는 ‘경년변동성’(經年變動性)이 기억나시는지요? 2018년에는 한파와 폭염이 있었습니다. 서울 기준 연 최저기온 -17.8℃, 연 최고기온은 39.6℃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2019년에는 겨울이 별로 춥지 않았고, 여름도 별로 덥지 않았습니다. 2019년 1월 최저기온은 -10.1℃이었고, 여름철 최고기온은 36.8℃이었습니다. 이렇듯 해마다 온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것을 ‘기후변동’이라고 합니다. 이와 달리, 기온이나 강수량 등의 ‘평균값’이 한 방향으로 꾸준히 변하는 것을 ‘기후변화’라고 합니다. 지난 글에서 ‘기후’를 사람이 가진 성격에 비유할 수 있다고 했는데.. 2020. 6. 12.
[제21회 콜로퀴움] 자연주의 철학과 창조론: 과정신학적 관점 자연주의 철학과 창조론: 과정신학적 관점 근대 세계는 기독교 신앙에 심각한 도전과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과학은 신의 존재를 부정할 만큼 ‘과학적’이 됐으며, 그에 반하여 기독교 신앙은 더욱 근본주의로 치닫고 있다. 이 깊은 골을 매우기 위해서는 과학적 자연주의에 대한 성찰과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과정신학은 과학과 신학이 서로 양립될 수 없는 것으로 이해되었던 두 세계관의 근본적인 종합을 제안한다. 이번 콜로퀴움에서는 오랜 시간 과정신학을 연구해 온 장왕식 교수를 통해 자연주의 철학과 기독교 창조론이 어떻게 서로 만나고 화해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 이번 강연은 온라인으로만 진행됩니다. 수강신청을 해주시면 이메일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수강신청 바로가기] * 일시: 202.. 2020. 6. 11.
2020년 6월 온라인 기초과정 특별 할인 과신대의 핵심 프로그램인 을 6월 한달 간 5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합니다. ✓ 영상 시청 방법: 온라인 특별 할인 수업은 구글 클래스룸으로 진행됩니다. 수강신청자에게는 클래스룸 접속 코드를 보내드립니다. 구글 클래스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이메일)이 필요합니다. 계정이 없는 분은 미리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 ※ 등록 신청: bit.ly/2AlP7EP ✓ 일시 : 2020.6.10~6.30 (영상은 7월 5일까지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강사: 우종학 교수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과신대 대표) ✓ 강의 내용 [1부 과학의 도전] 1강. 과학이란 무엇인가? 2강. 과학의 특성과 한계 [2부 성경 해석] 3강. 창조기사를 어떻게 읽을까? 4강. 성경과 과학 함께 읽기 [3부 무신론의 도전.. 2020. 6. 10.
[과신톡] 성소수자 정신건강의 이론과 실제 온라인 과.신.톡! 성소수자 정신건강의 이론과 실제 바야흐로 '혐오의 시대'입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성소수자가 있습니다. 잘 알려져 있듯, 1973년 는 '동성애는 질병이 아니다'라는 학문적 결정을 공표했으며, 지난 40년간 동성애를 병리화해서는 안된다는 학술적인 증거는 계속 쌓였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사회는 여전히 노골적으로 성소수자를 배제하고 차별하려고 합니다. 정치적 견해, 종교적 교리로 성소수자를 폄하하기 이전에 오늘날 정신의학에서는 성소수자에 대해서 어떤 의학적 진단을 내리고 있으며, 혐오와 배제라는 틀 안에서 겪는 이들의 정신건강에 대해서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살펴보려 합니다. 그동안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와 강연을 꾸준히 해오신 장창현 선생님을 모시고 함께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번.. 2020. 6. 9.
인간은 무엇이 되려 하는가? 카터 핍스 | 인간은 무엇이 되려 하는가? | 김영사 | 2016 하지만 이제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 내용은 적은데 정보만 너무 많은 것이다. 지식의 양은 많지만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기준과 체계는 결여되어 있다. 데이터는 넘치지만 깊은 의미는 빈약하다. ... 인간의 복잡한 게놈을 도표로 만들어서 그럴듯하게 설명하지만, 많은 아이가 학교를 그만두고 마약중독이 되어 거리를 배회하는 이유는 설명하지는 못한다. 역사상 가장 부유한 문화에서도 아이들이 버려지는 이유 또한 정보만으로는 알 수 없다. ... 인간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포기됐다. 그리고 진화 혁명가들은 세계가 분화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것을 다시 통합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시작점이 되어야 한다는 진실을 받아.. 2020. 6. 9.
과학-신학 대화는 인격신을 논할 수 있는가? 과학-신학 대화는 인격신을 논할 수 있는가? 장재호 교수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 과학과 종교의 대화, 과학과 신학의 대화는 지난 수십 년간 영미권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제는 한국에서도 여러 신학대학에 관련 과목들이 개설되고 있고, 과신대를 중심으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퍼져가고 있습니다. 과학과 신학의 대화를 통해 여러 생산적인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대화의 난제도 종종 등장합니다. 그 중 하나가 창조/진화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신의 인격성을 논하는 일입니다. 즉 과학에서 말하는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논의가 기독교 신앙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해도, 진화 과정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인격성을 논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는 조직신학/종교철학에서 신.. 2020.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