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81 [교사모임] "창조와 영성"(조성호 교수) 특강 후기 "창조와 영성" 2020년 2월 22일 과신대 교사모임 강사: 조성호 교수(서울신학대학교 영성학 교수) 작년에 청소년 과신대 캠프를 진행하면서 태동하였다가 2020년에 매월 셋째 주 토요일에 모이는 과신대 교사팀에서 올해 두 번째 모임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조성호 교수님을 모시고 지하철 4호선 사당역 근처의 더드림교회 4층에서 조촐하게 “창조와 영성”이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개최하였습니다. 교사팀 자문위원이신 이문원 교수님(강원대 명예교수)과 정승화 선생님, 정종명 선생님, 백우인 선생님, 전희경 선생님 그리고 이준봉 님(서울신대 신학과), 멀리 남반구 호주 시드니에서 비행기를 타고 찾아주신 김태준 선생님, 과신대 최경환 사무국장님께서 10시 반부터 1시 05분까지 작지만, 모닥불 같이 뜨거운 강의와 Q&A .. 2020. 2. 24. 과신대 핵심과정 1기 장학금 지원 안내 2020년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과신대 핵심과정에서 #대학생, #신학대학원생, #파트타임목회자, #미자립교회목회자, #구직자 및 #일정한수입이없는분 에게 장학금을 지원해드립니다. 아래 신청서를 클릭해서 작성해주시면 사무국에서 연락을 드립니다. * 핵심과정 장학금 신청: https://bit.ly/2SWtWyJ * 장학금: 5만원 (과신대가 5만원 지원, 중복 혜택 없음) * 등록비 납부: 카카오뱅크 3333-08-9187954 (최경환) 🔶🔶 핵심과정 안내 🔶🔶 ◎ 일시: 20202.3.2~5.11까지 저녁 7:00-9:30 ◎ 장소: 더처치 비전센터 5층(관악구 쑥고개로 122) ◎ 수강자격: 과신대 수강자 ◎ 프로그램 1강(3/2) 창세기는 어떤 책인가? (김근주 교수) 2강(3/9) 창세기 1, 2장.. 2020. 2. 18. 살고 살리는 기독교 페미니즘 (백소영) 오늘(2월 8일) 분당성공회 교회에서 백소영 교수님 특강이 있었습니다. 여성운동의 녹두장군처럼 녹두색을 멋지게 입고 가뿐히 날아오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신앙과 과학처럼 신앙과 페미니즘도 대화 가능한가?”라는 질문으로 오늘 우리의 북콘서트는 막을 올렸습니다. “왜 지금 우리는 페미니즘에 눈을 크게 뜨고 있는가?” 지금은 페미니즘 re-boot 시대! 신앙과 과학이 상보적 관계에 있는 것처럼 페미니즘도 신앙과 상보적 관계에 있어 대화를 나눌수록 ‘살고 살리는’ 아름다운 공동체성을 살려낼 수 있다는 확신과 함께 강의는 뜨거워졌습니다. 페미니즘은 우리 공동체의 Text와 Context에 그 동안 배제되었던 여성의 경험, 시각, 의미, 해석을 포함시키는 ‘이념’이고 ‘운동’이라는 강사님의 포문에 속이 다 시.. 2020. 2. 18. [분당/판교 북클럽] 페미니즘과 기독교의 맥락들 진정한 페미니스트 선언은 하나님 나라의 통치 질서를 선포하는 것과 같다. 모두가 존귀한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기독교 안에서의 페미니즘은 여성주의 시각으로 성경을 ‘의심하고, 비판하고 재구성하기’가 뜨거운 이슈다. 사회주의 기독교 페미니즘은 가부장제만큼이나 기존의 페미니즘을 해체의 대상으로 본다. 저자는 ‘재해석 이상의 해석학’의 입장에서 자신의 논지를 전개하고 있다. 저자가 聖經(성경)의 “경”자인 ‘세로실’을 단서로 성경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하나님의 계시와 그 경줄 사이사이 사람의 손을 의미하는 ‘위줄’이 가로로 들어가 단단하게 직조된 옷감으로 표현한 것이 매우 흥미롭다. 그렇기 때문에 ‘위줄’의 재해석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성경 안에서 ‘경줄’로서의 메시지는 이어받겠지만 여성 억압적인.. 2020. 2. 18. [과신대×기사연 공동포럼] 후기: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바란다 2020년 1월 28일 (화) 과신대와 기사연이 공동 주관한 포럼에 다녀왔다. 이 포럼에서 김현준 연구원은 “한국 개신교는 왜/어떻게 창조과학에 빠졌는가?”라는 발제문을 통해 세 가지 의미 있는 분석을 제공했다. 첫 번째로 창조과학을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김현준 연구원은 오히려 한국 기독교 지성 운동이 창조과학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했다고 분석한다. 기독교 지성운동이라 호명되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주도했던 복음주의자들에게는 ‘뼈 때리는’ 분석으로 들릴 대목이다. 초록은 동색이다. 복음주의자라는 이름을 원했던 이들은 끊임없이 근본주의자들의 반지성주 태도와 거리를 두며 유연한 태도와 입장을 지닌 복음주의를 꿈꿔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독교 지성운동은 근본주의 신앙이 .. 2020. 2. 18. 2020년 과신대 대의원 총회 소식 지난 2월 10일에는 2020년 과신대 대의원 총회가 있었습니다. 총회라고 하면 다소 엄숙하고 진지한 분위기를 생각할 수 있을 텐데, 이번 총회는 그 어느 때보다 화기애애하고 유쾌했습니다. 사무국에서는 장소 섭외에 실패했다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전화위복이 되어 총회가 파티로 변하는 놀라운 은혜가 임했습니다.^^ 대의원 총회는 2019년 사역을 평가하고 2020년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자리이지만, 다들 과신대 발전을 위해 좋은 말씀들을 많이 해주셔서 너무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총회 시간에 나온 이야기들을 몇 가지 적어봅니다. 정회원 참여를 이끌어 낼 방법을 고민해 보자 (북클럽 활성화 / 정회원 인터뷰 / 페이스북) 동영상 기반의 활동을 더욱 활성화하자 (영상 보고 토론하는 북클럽 콘셉트 등) 페이스북 .. 2020. 2. 14. 과신대 View vol.33 (2020.2) *|MC_PREVIEW_TEXT|* View this email in your browser 과신대 가입하기 과신대 후원하기 2020.2. 과신대의 소식을 전하는 과신대 VIEW - 33호 과신대 칼럼 다양성 가운데 일치 강사은 과신대 실행위원장 안녕하세요. 과신대뷰 회원 여러분. 2020년에 과신대 운영위원장으로 섬기게 된 강사은입니다. 2017년 가을에 우종학 교수님의 강의와 과도기(과학 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 북콘서트를 매개로 과신대와의 만남이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여전히 새내기 같은 제게 주어진 부르심에 응답하게 되었습니다. 지면을 통해 과신대뷰 회원 여러분과 만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더보기) 혹시 과신대 사무국에 오신 적 있으세요? 멋진 바와 소셜공간 그리고 근사한 사무실,.. 2020. 2. 13. [과신책] 세상을 바꾼 위대한 과학실험 100 메리 그리빈 & 존 그리빈 | 세상을 바꾼 위대한 과학실험 100 | 오수원 역 | 예문아카이브 (2017) 요즘 우리나라에서 사람들이 가장 큰 문제로 다가오는 것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제이다. 처음에는 별 것 아닌 것으로 생각하다가 사망자가 나오고 나에게도 바이러스가 감염될 수 있다고 생각 하지만, 현대는 의학과 생물학의 발전으로 인해 질병에 대처하는 사람들의 능력이 향상되었고 그로 인해 많은 질병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으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제도 잘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고대에 의학이나 생물학이 발전하기 이전에는 질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술에 의지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질병이 초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은 시간이 지나가면서 의학과 생물학의 발.. 2020. 2. 7. 사무국 소식 202002 혹시 과신대 사무국에 오신 적 있으세요? 현재 과신대는 '공유공간 NPOpia'를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멋진 바와 소셜공간 그리고 근사한 사무실 때문에 처음 이곳을 방문하시는 분들은 모두 깜짝 놀랍니다.^^ 이곳 NPOpia는 과신대가 단독으로 사용하는 공간이 아니라 여러 단체들이 입주해서 함께 사용하는 공유공간입니다. 요즘에는 이런 공간에서 1인 기업이나 스타트업 기업들이 사무공간을 사용한다고 하네요. 저희 과신대도 2018년 10월부터 이곳에 입주해서 편안하게 사무를 보고 있습니다. 공간이 너무 아름답고 멋있어서 근무하기는 편하지만 사용료가 살짝 부담스럽기 때문에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를 해야 하나 고민도 좀 했습니다. 그런데 감사하게도 2020년부터 공익경영센터에서 비영리단체를 지원하는 프로.. 2020. 2. 7.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87 다음